공부량은 많은데 결과가 좋지 않다면 분명 이유가 있습니다.
심리적인 문제는 없는지, 학습전략은 어떠한지, 인지 기능은 원활한지에 대해 확인을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자녀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게 된다면 많은 부분 도움받으실 수 있습니다.
- 심리적인 어려움이 있으면 에너지의 상당 부분이 그것을 해결하는 데 사용되어 공부할 수 있는 에너지가 현저히 줄어듭니다.
- 이럴 때 정서 상태와 성격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가 진행됩니다.
- 정서, 사고방식, 성격, 대인관계 양상, 문제 해결 전략, 자기 지각, 정보 처리 과정 등 심층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학습량과는 별개로 학습전략이 좋지 않다면 비효율적으로 공부하게 되어 좋은 결과를 내기 어렵습니다.
- 이럴 때 학습전략검사가 진행됩니다.
- 학습전략의 장단점, 동기 수준, 효능감, 자신감, 실천력, 시간관리, 공부환경, 수업태도, 노트필기, 집중 전략,
기억 전략, 시험 준비 등의 문제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인지 기능이 원활하지 않다면 학습에 대한 이해와 활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이럴 때 지능검사가 진행됩니다.
- 제한된 시간 안에 일정한 과제를 진행하여 전반적인 인지적 기능을 평가합니다.
- 전체 IQ와 5개 기본지표(언어이해 지표, 시공간 지표, 유동추론 지표, 작업기억 지표, 처리속도 지표)를 보여줍니다.
- 구체적인 인지능력과 강점 및 약점에 대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 부모-자녀 관계는 성장과정에서 자녀에게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이럴 때 부모 양육태도 검사와 부모와 자녀의 정서 상태와 성격을 파악하는 검사가 진행됩니다.
- 당사자까리도 의식되기 어려운 부분이 다양한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기의 검사와 함께 전문가의 행동 관찰, 면담 등이 추가되어 해석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심리적 증상, 정서 상태, 정서조절 능력, 전반적인 지적 기능, 성격 구조와 특성, 대인관계 등을 평가하고, 치료 계획, 치료 전략 및 기법 등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부모와 자녀를 이해하는데 도움받을 수 있습니다.